추진배경

    1

    지역별 1차 협력업체 수 : 수도권(33%), 동남권(29%), 대경권(13%) 특히,
    전국 자동차부품 100대 기업(2009년 매출액 기준) 중 24개사가 대구·경북에 위치하고 있음

    2

    경북의 자동차융합부품산업의 기업 집적 현황을 살펴보면 경주(36.4%), 경산(21%), 칠곡(11.5%),
    영천,구미,고령(5.8%) 중심으로 기업이 분포하고 있으며 산업인력은
    경주(43.7%), 경칠곡(8.2%), 김천(6.6%)로 구성되어 있음

    3

    지역의 자동차부품 업체수로는 ’02~’04년중 크게 감소하였다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업황개선 등으로
    빠르게 증가
    하여 ’11년 1,157개, ’13년 1,310개로 증가 (전국의 15.9%)

    4

    지역 자동차부품 업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04년 이후 완만하게 하락하는 추세임

    추진목표

    비전목표

    • 차세대 차량 융합부품
      산업 육성을 위한
      통합 글로벌 경쟁력 창조

    매출 · 고용

    매출확대 4,000억원,
    1,000개 일자리 창출지원

    매출 · 고용

    매출확대 4,000억원,
    1,000개 일자리 창출지원

    매출 · 고용

    매출확대 4,000억원,
    1,000개 일자리 창출지원

    추진전략

    SW·HW·경량화·NVH
    융합기술 집중육성

    제품화 성능평가지원,
    환경 신뢰성평가 One stop지원

    사업단을 중심으로 기존
    인프라 연계 및 특성화중복투자최소화

    지원품목

    전장 · 소재 기술융합을 통한 융합부품 글로벌 경쟁력 확보
    • 1

      지능형 안전지원장치

    • 2

      차량통신시스템

    • 3

      차량감성부품

    • 4

      복합경량화소재부품

    • 5

      엔지니어링플라스틱부품

    • 6

      차량용 센서

    사업목표

    목표

    차량 융합부품 관련 제품화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전장분야(SW, HW), 소재분야(경량화, 감성)
    기술과 부품의 글로벌 성능, 품질 확보를 달성하도록 중소중견 자동차부품기업을 위한 제품화 기술지원,
    융합부품 평가 및 인증 지원 인프라 기반조성을 통한 기술지원

    • 차량 융합부품 산업육성을 위해
      SW/HW/경량화/소음진동분야
      제품화 지원 기반구축을 통한
      글로벌 자동차부품산업 육성

    차량융합부품 연구성능지원 및 신뢰성평가 지원 체계 구축

    기술확보

    SW기술개발중심IT분야

    영상처리 ISP및 인식 SW기술직

    HW기술중심 시스테분야

    영상처리 ISP및 인식 SW기술직

    소재기술중심 경량화분야

    경량 고기능성 전장부품 기술지원

    소음진동기술중심 감성분야

    NVH 설계 융합부품 기술지원

    기반 인프라
    구축

    SW분야 장비지원

    SW검증/실차평가지원

    HW분야 장비지원

    ISO26262 RCP, HILS,ECU테스터

    소재분야 장비지원

    전장부품 항온항습 동작 챔버

    감성분야 장비지원

    실차 실내주행 환경 챔버

    기반 인프라
    구축

    영상 인식모듈

    화신, 3HVision

    헤드램프

    SL, AMS, ATC

    인포테인먼트

    디젠, 퓨전소프

    변속제어 모듈

    델파이, 삼보모터스

    MDPS

    메탈코프

    전기개폐, 배전

    제다,THN,Tyco

    파워트레인모듈

    영진,Tyco,발레오

    기대효과

    차량융합부품산업에 대한 단위적인 사업(센서, SW, 지능형모듈, 부품소재) 지원을
    SW/HW/감성/소음진동 분야의 종합적인 융복합 지원을 통해 지역 미래 성장동력인
    차량융합부품산업의 경쟁력 강화

    차량융합부품 5대 분류에 따른 집중 육성을 통해 지식서비스산업과 국가주력산업과의 융합에
    근거하여 차량융합부품산업중심의 첨단융합산업 국가 신성장동력 확보 및
    보편적 다양한 일자리 창출

    융합부품 산업 개발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기대

    융합부품 산업의 신성장동력 및 대표주력산업 경쟁력 확보

    자동차완성업체 및 부품업체에 차량 안전성 증가를 위한 기반 데이터와 경량화를 위한
    소재 특성을 제공하여 융합부품 기업의 시장경쟁력 강화

    융합전문부품 글로벌 중견기업 육성* 융합전장부품 중심 중견기업 4개사 육성 및 매출 - 4,000억원 / 년 - 1000개 일자리 창출

    문의처

    윤정배 팀장

    053. 245. 5030

    jbyun@gitc.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