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셔틀 부품/모듈 기반조성
추진배경
세계 자동차 산업은 경계가 무한 확장되는 대변혁이 진행중
2030년 미래자동차 시장은 전기, 수소, 자율주행, 이동서비스 산업이 주도할 것으로 전망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자동차에 탑재되는 자율주행 기술의 비중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
2025년 4% → 2030년 41% → 2035년 75% 에 이를 것으로 전망
국내 전기차 보급을 2025년 25만대를 목표로 산업수요 차지 비중을 14.4%까지 끌어올릴 예정
2020년을 시작으로 자율주행 Lev-4 단계 적용 차량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어 관련 부품산업이 성장할 전망
세계 5대 자동차 생산대국으로 분류되는 한국의 미래차 분야 시장 점유율 확보 필요
경북 자동차 부품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업 기술경쟁력 확보와 미래차 지원 기반체계 구축이 필요
추진목표
-
자율주행셔틀, 전기차 분야
지역산업 육성을 위한
기업 경쟁력 확보 및 신동력 확보
연구장비 및 전담인력 활용
연구장비와 전담인력 활용을 통한
연구개발 성과창출 및 기업지원 수행
인프라 중복 투자 방지
기관별 역할및 특화기능 연계를 통한
중복투자 방지 및 특화지원체계 구축
기구축 장비 활용 연계
기구축 / 신규장비의 공동 활용으로
장비운용 전문 지원체계 구축
추진전략
자율주행셔틀 분야 거점센터 구축 및
기능검증, 환경신뢰성 평가 장비 구축
자율주행셔틀 및 전기차 분야 산/학/연/관
연계협력 네트워킹 클러스터 구축
지역 미래차 분야 관련 기업 대상
기술지도 / 시험평가 / 시제품제작 기업지원
재직자 중심의 자율주행 요소기술 교육
구축장비 활용기반 장비운용 전문인력양성
지원품목
- 1
자율주행관제/SW
- 2
정밀맵
- 3
자율주행센서
- 4
모터
- 5
전력변환
- 6
인버터
- 7
배터리
- 8
NVH
- 9
섀시
사업목표
목표
도심형 자율주행셔틀 부품산업 육성을 위한 자율주행셔틀 및 전기차 분야 기술확보
기능검증 및 신뢰성 평가 장비의 체계적 구축을 통한 기업지원 및 미래차 부품 클러스터 구축
지역 자동차 부품산업의 고도화를 통한 신산업 개척 및 미래차 부품 분야 글로벌 경쟁력 확보
-
자율주행셔틀 산업육성을 위해
자율주행부품/저속전기차량부품/종합신뢰성분야 기반 구축을 통한
지역 자동차산업 재도약 및
글로벌 경쟁력 확보
도심형 자율주행부품 연구성능지원 고도화 및 신뢰성 평가 지원 체계 구축
기대효과
지역 주력산업 기반 미래 신산업 발굴
- 미래차 부품 기반 자율주행셔틀 클러스터 구축 및 지역 자동차 산업의 재도약
- 지자체 연계기반의 산업활성화 추진과 지속적 성장동력확보를 통한 경쟁력 강화
- 지역별 특화산업 연계를 통한 차별적 과제 운영으로 산업의 고도화와 다양화 추진
미래차 첨단기술 확보
- 도심형 자율주행셔틀 및 전기차 부품 관련 기술 확보 및 제품 생산력 확대
- 자율주행셔틀 연구개발 인프라 구축 및 운영을 통한 지역 기업의 미래차 지원 체계 마련
- 지역별 특화산업 연계를 통한 차별적 과제 운영으로 산업의 고도화와 다양화 추진
송진선 선임연구원
053. 245. 5024
jssong@gitc.or.kr